정부가 바이오헬스 산업을 국가의 핵심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기로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바이오헬스 산업을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보고 관련 분야를 키우기 위해 정부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또한 관계 부처에 한국형 보스턴 클러스터 조성과 디지털헬스케어법 제정 등 바이오헬스 및 디지털 헬스케어 육성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바이오헬스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바이오헬스 수출 활성화 전략을 제시했다. 

바이오헬스, 국가 핵심인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키운다

윤석열 대통령이 바이오헬스 산업을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보고 국가의 핵심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28일 글로벌 바이오헬스 강국 도약을 위한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회의'가 윤 대통령 주재로 개최됐다. 이 자리에는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등 정부 고위관계자 및 바이오헬스 분야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했다.

이날 윤 대통령은 "바이오헬스 산업을 국가 핵심 전략산업으로 키워나가기 위해 정부가 역량을 모으고 지원해 나가겠다"라며 "벤처기업과 청년들이 이 분야에 도전하고 이를 주도해 나갈 수 있도록 한국형 보스턴 클러스터 조성을 적극 추진하겠다"라고 관련 분야에 대한 정부의 지원 의지를 드러냈다. 

덧붙여 "바이오헬스 산업을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키우겠다"라고 강조하며 국회에 계류 중인 디지털헬스케어법의 신속한 처리 등 바이오헬스 및 디지털 헬스케어 육성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바이오헬스 분야를 산업화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의 재정적인 투자와 함께 국책은행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 입장에서는 당연히 바이오헬스에 재정을 투자해야 하며, 디지털·바이오헬스 분야를 제대로 산업화시키기 위해서는 재정뿐 아니라 은행의 역할도 중요하다"라며 "국책은행이 바이오 분야에 금융투자를 선도할 수 있도록 단순한 대출만이 아니라 다양한 상품을 개발하고, 정부 자금이 국책은행을 통해 나가도록 연구해달라"라고 당부했다.

#보스턴 클러스터

미국 최고의 바이오 클러스터로 MIT, 하버드 등 지역 명문대학, 벤처기업, 연구기관 등이 군집해있는 바이오산업 핵심지역이다. 

글로벌 바이오헬스 6대 강국, 의료기기·의약품 수출 5위 목표

정부가 바이오헬스 수출 활성화를 포함해 글로벌 바이오헬스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글로벌 바이오헬스 6대 강국, 수출 5위 국가로 도약하겠다는 계획이다. 

28일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5대 핵심과제로 구성된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을 수립·발표했다. 5대 핵심과제는 ▲데이터 기반 의료·건강·돌봄 서비스 혁신 ▲바이오헬스 산업 수출 활성화 ▲첨단 융복합 기술 연구개발 강화 ▲바이오헬스 첨단 전문인력 양성, 창업 지원 강화 ▲법·제도 및 인프라 구축 등이다. 

인포그래픽 = 최미래 기자

특히, 보건복지부는 바이오헬스 수출 활성화를 위해 향후 5년 내 연 매출 1조 원 이상의 블록버스터급 신약 2개를 창출하고, 의약품·의료기기 수출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2027년까지 의약품('22년 82억 달러 → '27년 160억 달러)과 의료기기 수출('21년 86억 달러 → '27년 160억 달러)을 2배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보건복지부는 2.2조 원 규모의 국가신약개발사업(2021~2030)을 지속 지원하고, 1.2조 원 규모의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 1기 사업(2020~2025)의 후속으로 암·당뇨·치매 등 의료 난제 해결을 위한 차세대 의료기기 개발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2025년까지 K-바이오백신 펀드 1조 원을 조성해 신약 개발을 지원하고, 기업의 연구개발 '데스밸리(death-valley)' 극복을 위해 보건계정 모태펀드 등 기존 정책펀드를 활용한 의료기기 분야 투자를 확대하기로 했다.

아울러 정부는 해외환자 유치를 활성화해 의료서비스 수출을 회복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보건복지부는 외국인 환자 유치를 위해 외국인 환자 우수 유치기관 지정을 지난해 27개에서 올해 50개 이상으로 확대하고, 비대면 진료를 제도화하기로 했다. 또 의료기기·디지털 헬스케어 등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의료 해외진출 지원사업에 17.5억 원, ICT 기반 의료시스템(원격진료 시스템 등)의 구축·시범운영에 12억 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그 밖에 정부는 바이오헬스 첨단 전문인력 11만 명 양성, 제약·바이오 창업 기업 육성을 위한 특화 기반시설 'K-바이오 랩허브' 구축, 바이오헬스 디지털 전환을 위한 범정부 거버넌스 구축,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개선을 위한 '디지털헬스케어법' 제정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데스밸리(death-valley)

죽음의 계곡이라는 뜻으로, 스타트업들이 창업 초기 자금 부족, 매출 부진 등 성장 정체로 고난을 겪는 단계를 말한다. 

#거버넌스

국가 해당분야의 여러 업무를 관리하기 위해 정치·경제 및 행정적 권한을 행사하는 국정관리 체계를 의미한다.

의료AI 기업 루닛, 바이오헬스 전략회의 참석해 유방암 검출 AI 솔루션 시연 

출처 = 루닛
출처 = 루닛

국내 바이오헬스 기업들이 윤 대통령 주재로 개최된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회의'에 참석한 가운데,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이 100%에 가까운 정확도를 보이는 유방암 검출 AI를 선보였다. 

28일 서범석 루닛 대표는 이날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회의에서 윤 대통령을 대면하고, 유방암 검출 AI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를 시연했다. 

루닛 인사이트 MMG는 유방촬영술 내 유방암을 97% 정확도로 검출해 의료진의 진단을 보조하는 제품으로, 유방암 검출 AI 솔루션 최초로 미국식품의약국(FDA) 허가를 획득했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루닛이 국내 바이오헬스 기업을 대표해 윤석열 대통령 주재 신시장 창출 전략회의에 참석할 수 있어 뜻깊게 생각한다"라며 "이번 전략회의에서 정부가 보여준 바이오헬스 산업에 대한 관심과 지원은 한국의 선진화된 의료AI 기술을 보다 다양한 국가에 확대·보급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루닛은 최근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공공의료원(DAHC)에 루닛 인사이트 MMG 수출에 성공했으며, 현재 루닛 인사이트 MMG를 포함한 루닛의 AI 영상진단 솔루션은 전 세계 40여 개국, 1,500여 개 의료기관에서 사용 중이다.

 [기업 관련기사]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 분석

 

회원 전용 기사입니다.

인베스트 뉴스 회원가입으로 더 많은 기사를 만나보세요!

MSN에서 인베스트를 팔로우하시면 최신 기사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