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반그룹이 건설·리조트·레저 등 전 사업 영역에서 스타트업과의 협업을 확대하며 오픈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의 배경에는 외부 스타트업과의 협업을 통해 기존 건설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그룹의 미래 성장과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려는 김대헌 호반건설 기획총괄사장의 의지가 자리한다. 호반그룹은 스타트업이 보유한 혁신 기술을 발굴 및 도입하는 동시에, 계열사 액셀러레이터인 플랜에이치벤처스를 통해 초기 기술기업 투자도 병행하고 있다.호반그룹, '혁신기술공모전·데모데이' 개최... 스타트업 협력 강화호반그룹이 '
누리호 핵심 부품 공급사 비츠로넥스텍이 적자 상태에서도 기술특례 제도를 활용해 상장에 성공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비츠로넥스텍은 상장 첫날, 공모가(6,900원) 대비 85.7%오른 12,810원에 마감했다. 장 중 한때 20,500원까지 치솟기도 했다.회사의 기술평가 등급은 A·BBB로 비교적 낮은 편이지만, 누리호 참여 실적 등 기술력이 긍정적으로 평가되면서 수요예측(1015.93대 1)과 공모청약(762.23대 1)에서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특히 수요예측에 참여한 국내외 투자기관 2,239곳 중 96.9%는 희망밴드(5,
20일 여의도 콘래드서울 호텔에서 국내 최대 규모의 금융권 정보보호 컨퍼런스인 'FISCON 2025'(Financial Information Security Conference 2025)가 성황리에 개최됐다. 금융보안원, 금융정보보호협의회, 금융보안포럼이 공동 주최한 이번 행사는 "Leading the Change (변화를 이끌다)"를 주제로 약 1,600여 명의 금융회사 CEO 및 보안 전문가들이 참석해 AI 시대의 금융보안 전략과 최신 동향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이억원 금융위원장 "금융보안 특화법 '디지털금융안전법' 제정 논의
신한은행이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금융 소외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오픈뱅킹·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오프라인 영업점에서도 본격 시행하기로 했다. 이로써 금융서비스 이용이 어려웠던 고령층·디지털 취약계층이 오프라인 창구에서도 타행 조회·이체와 자산 통합 조회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이와 함께 신한은행은 '디지털 라운지'를 확대해 시니어·외국인 등 금융 취약계층의 이용 문턱을 낮추고, 소상공인 데이터를 활용한 '땡겨요 신용평가모델'과 사업자 대출 출시를 통해 생산적·포용적 금융 범위를 확장하고 나섰다. 신한은행, '오프라인 오픈뱅킹
미국이 엔비디아의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인 H200에 대한 중국 수출 허용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미국의 GPU 통제가 정상회담 이후로 유연해지는 분위기다.그동안 미국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카드로 반도체, 그중에서도 엔비디아의 GPU를 활용해왔다. 국가 간 AI 경쟁이 치열해지고 '여기서 밀리면 끝난다'는 위기감이 팽배한 현 시대에 엔비디아의 GPU만큼 뚜렷하고 강력한 통제 수단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미국 내에서는 '무조건 막는 것이 능사인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각 이해관계자들도 서로 다른
씨엠티엑스(CMTX)가 상장 첫날 '따블' 달성에 성공하며 공모 과정에서의 흥행 기대치를 충족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씨엠티엑스는 20일 공모가(60,500원) 대비 2배 이상인 131,6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장 중 한때 154.5% 급등한 154,000원까지 치솟기도 했다.앞서 회사는 수요예측과 공모청약에서도 역대급 흥행을 보이며, 기관 및 일반투자자 모두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은 바 있다. 수요예측에서는 국내외 기관 2,423곳이 참여해 756.19대 1의 경쟁률을, 일반투자자 대상으로 진행된 공모청약에서는 1833.02대
글로벌 디지털자산 질서가 재편되는 가운데 한국 정치권과 산업계가 입법 공백을 해소하고 규제 중심의 정책을 산업 육성 관점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미국·유럽·홍콩 등이 제도 경쟁에 속도를 내며 시장 주도권을 강화하고 있으나, 한국만 명확한 법·제도 기반 없이 정체돼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지난 19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업비트 디지털자산 정책 콘퍼런스 'D-CON 2025'에서는 여야 정치인과 산·학 전문가들이 'Next 대한민국, K-디지털자산'을 주제로 국내 디지털자산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제도·정책 방향을 집중
지난 17일 현대차 정몽구 재단이 서울 파이팩토리 스튜디오에서 '2025 임팩트 스타트업 데이' 행사를 개최했다. '임팩트 스타트업'은 빈곤, 불평등, 기후변화, 교육·의료·문화격차, 저출산·고령화 등 사회적 난제를 해결하는 스타트업을 말한다. 이번 행사는 화려한 숫자가 오가는 여느 투자 설명회와는 공기부터 달랐다. 이곳에서 논의되는 아이템들은 휠체어, 점자 프린터와 같이 당장의 높은 수익성을 보장하지는 않지만, 사회 구성원 누군가에게는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자, 개선과 혁신이 절실한 분야들이다.이날 행사는 '돈이 되는가'라는 질문보
150조 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가 본격적인 출범 준비에 나섰다. 국민성장펀드는 첨단전략산업 생태계 전반을 민관합동으로 지원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한국산업은행과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농협)는 지난 17일 펀드의 성공적인 조성과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첨단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민관 역량 결집을 선언했다. 이날 협약식에 참석한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금융권을 향해 "보수적 영업관행과 마인드를 획기적으로 뜯어고쳐야 한다"고 강도 높은 쇄신을 주문했다."시장 평가는 냉정"... 이자장사 질타한 금융위원장지
국내 게임 산업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다. 정부 정책 기조 변화에 AI 기술 혁신이 더해지면서 유망 게임 스타트업에 더 많은 기회가 주어질 거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실제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서울 성수동 '펍지 성수'에서 열린 K-게임현장 간담회에서 "게임은 단순한 오락이 아니라 대한민국 문화산업 발전의 한 축"이라며 "정부의 역할은 억압이 아니라 기회를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게임을 중독 대상으로 바라보던 인식에서 벗어나, 게임을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 수출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정부 의지를 드러냈다.간담회에 참
11월 13~16일 코엑스에서 개최된 '서울국제유아교육전 & 키즈페어'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600여 개가 넘는 업체가 참여하며 '최대 규모'라는 수식어를 입증했다.0세부터 10세 자녀를 대상으로 한 행사장은 자녀의 성장에 맞춰 교재나 완구를 교체하려는 학부모들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특히 대형 전문 출판사와 유명 놀이용품 부스에는 현장 구매를 위한 인파가 몰리며 부스마다 '전쟁터'를 방불케 하는 진풍경이 펼쳐졌다.책과 완구의 홍수, 하지만 '교육 이론'의 부재현장의 주류는 단연 유아용 책과 놀이 기구였다. 대형 출판사들이 전
14일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이 공동 주관하는 '재도전의 날' 행사가 '실패를 자산으로, RESTART THE SPARK'라는 슬로건 아래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높은 잠재력을 보유했음에도 '실패 기업'이라는 사회적 낙인과 경제적 어려움의 이중고를 겪는 재도전 기업들을 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이날 행사에서는 헬스테크 스타트업 파리로엠엔비와 소상공인 분야 비트렌드가 참여해 재도전 사례 경험을 공유했다. 이들은 폐업 경험을 바탕으로 재창업에 성공한 사례를 발표했으며, 기조연설자로 나선 이수진 야놀자 대표는 전 재산을 잃는 실패 속에
생명과학 소부장 전문기업 큐리오시스가 상장 첫날(13일) 주가가 공모가의 4배까지 오르는 이른바 '따따블' 달성에 성공했다. 개장 직후 큐리오시스 주가는 공모가(22,000원) 대비 300% 오른 88,0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그대로 마감했다. 상장 첫날 시초가가 공모가의 300%까지 오른 것은 큐리오시스가 처음이다.앞서 큐리오시스는 수요예측과 일반청약에서 각각 1031.39대 1, 2203.97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모으며 투자자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은 바 있다. 특히 수요예측에 참여한 국내외 투자기관 2,210곳 중 2곳
13일 부산 벡스코(BEXCO)에서 국내 최대 게임 축제 '지스타(G-STAR) 2025'가 개막했다. 평일임에도 수많은 관람객이 몰리며 개막 첫날부터 뜨거운 열기가 가득했다. 지스타는 매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규모의 게임 산업 전시회다. 2005년 한국게임산업협회(K-GAMES)가 처음 주최하면서 시작됐고, 올해로 벌써 21회째를 맞이했다.행사는 일반 관람객을 위한 전시(B2C)와 기업 간 거래 및 투자 상담을 위한 전시(B2B)로 나뉘어 진행됐다. B2C관에서는 주요 게임사들이 신작을 발표하고 시연하는 자리가 마련
모바일 eSIM(전자 SIM) 플랫폼 기업 가제트코리아가 110억 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마무리했다. 이로써 회사는 초기 시드 및 프리 A 라운드 투자를 시작으로 최근 시리즈 A2 투자까지 누적 투자금 130억 원을 돌파했다. 가제트코리아는 설립 1년여 만인 2022년 2월 시드 투자를 유치했으며, 2023년 6월 프리 A 를 통해 서비스 개발 자금을 확보했다. 이후 2024년 12월, 60억 원 규모의 시리즈 A 라운드를 성공적으로 마치며 기업가치 300억 원을 돌파했다. 이어 최근 라운드인 시리즈 A2에서는 기존 투자사인
인공지능(AI) 기반 호흡기 질환 진단 기업 티알이 최근 캡스톤파트너스 주도로 25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티알은 AI 기반 정밀 검진 기술력과 시장 확장성을 인정받아 성공적으로 투자를 이끌었다. 이번 투자에는 한림대기술지주, 인포뱅크, 신용보증기금 등 다수의 전문 투자 기관이 참여했다.티알은 확보한 투자금을 통해 주력 제품인 '더 스피로킷'(The Spirokit)의 생산성 향상과 유통망 강화를 추진하며, 신제품 개발을 가속화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선도 입지를 공고히 할 계획이다.2020년 설립된 티알은 AI 기
지난 11월 3일부터 4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Summit 2025'(SK AI 서밋)는 단순한 기술 시연을 넘어, AI 시대를 맞이하는 SK그룹의 전략적 방향과 강력한 의지를 명확히 드러낸 현장이었다.'AI Now & Next'를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는 지난해 '대한민국 대표 AI 행사'라는 이름에 걸맞은 규모를 뛰어넘어, '글로벌 AI 플랫폼'으로 한 단계 더 성장했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줬다.그간 SK의 연례행사는 2016년부터 2023년까지 'SK 테크 서밋'이라는 이름으로 그룹의 ICT 역량을 공유하고 내부 결
미국 식품의약국(F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은 국민 보건을 책임지는 핵심 규제 기관으로, 의약품, 의료기기, 식품, 화장품 등 다양한 제품의 안전성과 효과를 철저히 관리합니다. 특히 신약 개발 과정에서 FDA의 역할과 규제 절차를 이해하는 것은 글로벌 제약 산업에서 성공하기 위한 필수 요소입니다.미국 FDA의 구조와 역할FDA는 보건복지부(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HS) 산하에 있으며, 그 구조는 여러 센터와 사무국으로 나뉘어 각기 다른 규
한국투자증권(한투증권)이 창사 이래 최대 위기에 직면했다. 대규모 원금 손실을 낸 해외부동산 펀드의 불완전판매 의혹이 채 가시기도 전에, 강남지점 직원의 수억원대 횡령 및 도박 사건까지 터지면서 내부통제 시스템이 총체적으로 붕괴했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특히 이번 사태는 금융소비자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내세운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금융당국이 도입한 '책무구조도'의 사실상 첫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연이은 대형 사고로 김성환 사장 등 경영진이 당국의 1호 제재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한투증권의 핵심 사업인 종합투
Korea’s manufacturing sector — once the beating heart of its economy — is showing signs of stagnation. According to a survey by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KCCI) of 2,186 manufacturers nationwide, more than 80% of companies responded that their core products are already in a “red o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