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으로 벤처투자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올해 지식재산(IP)·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한 지원 모델을 새롭게 구축하고 국내 창업기업(스타트업) 지원에 나섰다.
특히 정부는 단순한 재정적 지원을 넘어서, 스타트업이 창업 초기에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실질적인 성장을 달성할 수 있도록 기업별 맞춤형 판로 지원 사업을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정부의 이러한 행보는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고, 기술 기반의 혁신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①특허청 - '2024 IP전략지원 사업'으로 창업기업 30개 사 지원
특허청은 IP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2024년 민관협력 IP전략지원 사업' 모델을 새롭게 마련하고 사업에 참여할 민간 운영사 모집에 나섰다. '민관협력 IP전략지원 사업'은 IP 분야 스타트업의 투자와 특허 사업화 전략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업계의 실질적인 의견을 반영해 올해 새롭게 신설됐다.

11일 특허청은 "민관협력 IP전략지원 사업에 참여할 민간 운영사를 모집한다"라며 "오는 26일까지 IP 전문성과 창업기획 및 투자역량을 보유한 총 6개의 민간기관 운영사를 선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선정된 6개 민간 운영사는 유망한 IP 스타트업 30개 사를 발굴해 투자 및 사업화 지원 역할을 맡게 될 예정이다. 즉, 각 운영사는 스타트업의 지식재산을 관리하는 CIPO(최고 IP 경영자)로서 사업에 참여하게 된다.
또한 세부적으로는 기업당 7천만 원 이상의 투자금(5개 사, 총 3.5억 원)과 특허청의 예산지원금(3.5억 원)을 활용해 스타트업의 IP 권리확보와 제품전략 컨설팅, 시제품 제작 등 지식재산 기반의 사업화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통해 스타트업들의 투자유치 및 글로벌 진출을 지원한다.
목성호 특허청 산업재산정책국장은 "국내외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으로 벤처투자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이번 사업은 민간과 정부가 손잡고 IP 혁신기업에 자금과 특허전략을 함께 지원하는 새로운 모델이 될 것"이라며 "이번 사업을 통해 창업기업은 투자와 전문적인 특허 사업화 전략 지원을 함께 받을 수 있고, 민간 운영사는 직접 발굴하고 투자한 기업을 정부와 함께 지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라고 전했다.
②과기부 - 올해부터 ICT 기술 기반 'GovTech 창업기업' 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GovTech 기업의 창업을 활성화하고 디지털플랫폼정부 혁신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GovTech 창업기업 지원사업'을 올해부터 추진하기로 했다.
GovTech는 국가의 공공 서비스 및 프로세스의 디지털화를 의미하는 말로, ICT 기술 기반의 기업이 공공데이터 및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해 △공공부문의 대국민 서비스 △공공현안 및 지역사회 문제해결 솔루션 등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과기정통부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GovTech 분야의 혁신적 사업모델에 대한 과제를 공모(자유주제)하고, 20개 과제 내외(과제당 약 1.7억 원)를 지원할 계획이다. 총 사업 규모는 34억 원이다.
또한 선정된 기업을 대상으로 GovTech 서비스 개발을 위한 창업·사업화 자금, 클라우드 인프라 비용, 데이터셋 구축, SW품질 검증 등 사업화 지원부터 인큐베이팅·컨설팅, 홍보·마케팅까지 집중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과기정통부는 디지털플랫폼정부의 혁신적 사업모델과 기술력을 갖춘 유망기업을 발굴·육성해 GovTech 분야 신산업을 창출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세웠다.
이승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플랫폼데이터혁신국장은 "디지털플랫폼정부 분야 대국민 혁신서비스와 공공현안 및 지역 사회문제 해결이 가능한 스타트업을 발굴·지원해 향후 5년간 100개 이상의 GovTech 창업기업(DPG 100+)을 육성할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국민들이 체감하는 공공서비스 창출을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GovTech 지원사업의 공모기간은 3월 12일부터 4월 12일까지이며, 과제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업은 창업기업 단독 혹은 정부·지자체·공공기관과의 컨소시엄 형태로 신청할 수 있다.
③중기부 - 외교부와 협력해 창업기업 글로벌화 지원

중소벤처기업부는 외교부와 협력해 스타트업 해외진출을 위한 발판 마련과 지원을 목표로 판로 개척에 나섰다.
지난 7일 중기부는 '2024 재외공관 협업 K스타트업 글로벌 네트워킹 지원사업(이하 네트워킹 지원사업)'에 참여할 재외공관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선정된 재외공관은 튀니지 대사관, 샌프란시스코 총영사관, 사우디아라비아 대사관, 시애틀 총영사관, 호치민 총영사관, 싱가포르 대사관, 베트남 대사관 등 총 7곳이다.
해당 기관들은 현지 외교 인프라를 바탕으로 △무역박람회 연계 홍보 △투자상담회 △스타트업 간담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각국의 상황에 특화된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스타트업을 해당 지역의 창업 생태계와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김진동 외교부 양자경제외교국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국내 기업들에게 맞춤형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부처 간 칸막이를 혁파하고 우리 중소·벤처기업들의 글로벌화를 돕는 다양한 협업 사업들을 발굴하고 시행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네트워킹지원사업
'네트워킹 지원사업'은 각국의 재외공관이 보유한 네트워크를 활용해 현지 창업 생태계에 적합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국내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을 돕는 사업으로, 중기부와 외교부가 협력해 '초격차 스타트업 1000+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을 통해 정부는 지난해부터 미국 샌프란시스코, 벨기에, 튀니지 등 11곳의 재외공관과 협력해 국내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해왔다.
지금까지 투입된 예산은 총 3.6억 원(11개 공관당 평균 3,000만 원)이며, 올해는 지원 공관 수를 조정하고 평균 지원 예산을 증액하는 방향으로 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