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그래픽 = 곽혜인 기자
인포그래픽 = 곽혜인 기자

기업들이 바라보는 새해 한국경제의 전망이 싸늘한 가운데, 새해 가장 높은 성장세가 기대되는 업종은 제약과 화장품인 것으로 조사됐다.

4일 대한상공회의소는 전국 2,254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진행한 '기업이 바라본 2023 경제·경영전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그중 매출 전망치를 상대 비교해 새해 업종별 기상도를 분석한 결과 맑은 업종제약, 화장품, 전기장비 순이었으며 한파가 몰아칠 업종비금속광물, 섬유, 정유·화학, IT·가전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약은 코로나 특수가 이어지고 있고, 화장품은 중국 소비 회복 기대감 등이 호재로 작용했다. 반면 원자재 비중이 높고 글로벌 수요에 민감한 업종은 부진한 전망을 보였다.

식품, 자동차, 조선, 의료·정밀은 소폭이지만 매출 증가 전망이 나와 약간 맑음으로 분류됐고 철강, 기계 , 목재·가구는 소폭의 매출 감소 전망이 나와 흐림으로 분류됐다.

기업이 본 2023년 경제성장률 전망치 1.16%… 기관 전망치보다 '싸늘'

인포그래픽 = 곽혜인 기자
인포그래픽 = 곽혜인 기자

기업들이 전망하는 2023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1.16% 수준으로 집계됐다. 국내외 기관들의 전망치가 1.5∼2.0% 수준인 것과 비교하면 기업 현장에서 느끼는 경제여건이 더 좋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고물가, 고금리의 어려움 속에 내수 위축의 우려가 반영된 결과다.

또한 새해 매출과 수출 실적이 작년과 비교해 어떨 것으로 전망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동일 수준 이라고 답한 기업이 가장 많았지만 전체적으로는 마이너스 구간을 꼽은 기업이 더 많아 가중평균값은 1%대 역성장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인포그래픽 = 곽혜인 기자
인포그래픽 = 곽혜인 기자

경영실적 전망이 좋지 않은 만큼 투자도 보수적으로 운영한다는 답변이 많았다. 작년과 비교해 새해의 투자계획을 묻는 질문에 작년과 동일 수준이라는 응답이 53.5% 로 가장 많았고, 작년보다 감소라는 답변이 33.9%였다. 작년보다 투자를 늘린다는 기업은 12.6%에 그쳤다.

2021년 말 동일한 방법으로 전국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는 투자를 작년보다 늘려 공격적으로 운영할 전망이라는 답변이 41.6%였는데, 불과 1년 새 29%p 감소했다. 반대로 작년과 동일하거나 감소한다는 보수적 답변은 2022년 전망치인 58.4%에서 87.4%로 크게 증가했다.

3고·내수경기 침체 지속 전망

인포그래픽 = 곽혜인 기자
인포그래픽 = 곽혜인 기자

기업들은 새해 한국경제를 위협할 리스크 요인으로 3고(고물가·고환율·고금리) 현상의 지속과 내수소비 둔화를 가장 우려하고 있었다. 기업들이 가장 많이 꼽은 리스크 요인은 고물가·원자재가 지속(67.3%)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내수경기 침체(38.2%), 고금리 지속(29.2%), 원부자재 수급 불안(17.8%), 고환율 장기화(16.7%) 순이었다.

이러한 리스크 요인을 관리하기 위해 정부가 역점을 둬야 할 과제로 기업들은 경기상황을 고려한 금리정책(47.2%)환율 등 외환시장 안정(42.6%)을 가장 많이 꼽았다.

김현수 대한상공회의소 경제정책실장은 "지금의 경제적 어려움은 코로나의 정상화 과정에서 전 세계 모든 나라가 겪고 있는 문제인 만큼 누가 선제적이고 확실한 대응책을 펼치느냐에 따라 경기회복기의 득실이 달려있다"라며 "지금은 민간, 정부, 정치권은 물론 경영계와 노동계 등 한국경제의 모든 구성원들이 경제 위기상황을 잘 극복하는 데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 .

회원 전용 기사입니다.

인베스트 뉴스 회원가입으로 더 많은 기사를 만나보세요!

MSN에서 인베스트를 팔로우하시면 최신 기사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