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그래픽 = 곽혜인 기자 (자료출처: DART)
인포그래픽 = 곽혜인 기자 (자료출처: DART)

바이오 의약품 위탁생산기업 이엔셀(ENCell)이 코스닥 상장예비심사에 통과하면서 본격적인 IPO(기업공개) 절차에 착수했다. 주관사는 NH투자증권으로, 회사는 조속한 시일 내에 증권신고서 제출을 마치고 공모 절차에 돌입할 예정이다. 총 상장예정주식수는 933만 8,404주이며 이 가운데 공모주식수는 156만 6,800주다.

이엔셀의 이번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승인은 지난해 7월 심사를 청구한지 약 9개월여만에 이뤄졌다. 규정대로라면 45일 이내에 심사 결과를 통보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지난해 논란이 된 '파두 사태' 이후 기술특례기업에 대한 심사 절차가 다소 까다로워진 탓이다. 이에 기술특례 방식으로 상장에 도전하는 경우 심사 기간만 6개월을 훌쩍 넘기거나, 심사 도중 상장을 철회하는 기업도 비일비재하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선방했다는 평가다.

2018년 설립된 이엔셀은 글로벌 수준의 GMP(우수의약품 제조 관리 기준) 시설 운영 시스템과 품질 및 제조 관리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CDMO는 고객사가 요청한 위탁생산(CMO)에 개발(Develop)의 개념을 더한 것으로 △생산공정 최적화 △품질시험 최적화 △CMC(Chemistry Manufacturing Control) 등 신약 개발 과정 전반을 관리하는 방식이다.

이엔셀 주요 고객사는 GMP 시설이 없는 제약사, 바이오벤처, 국공립 연구소 및 대학 등이며 현재까지 17개사와 33건의 프로젝트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세포 및 유전자치료제 생산, 인허가 과정을 겪으며 쌓아온 기술을 기반으로 고객사가 보다 빠르게 임상 단계에 진입할 수 있도록 최신 규제나 환경 변화 등 다양한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회사는 CDMO 이외에도 난치, 불치 질환을 대상으로 한 세포·유전자 치료제 및 표적 유전자 치료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현재 개발 중인 탯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MSC) 기반의 근육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EN001'은 샤르코-마리-투스병(CMT), 뒤센 근위축증(DMD)을 적응증으로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인포그래픽 = 곽혜인 기자 (자료출처: DART)
인포그래픽 = 곽혜인 기자 (자료출처: DART)

기술특례 트랙을 밟고 있는 만큼 재무건전성은 낮은 편이다. 최근 3년간 꾸준한 매출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으나, 흑자전환은 달성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엔셀의 지난해 매출액은 105억 원으로 전년(74억 원) 대비 14% 증가했지만, 영업손실액은 118억 원을 기록하면서 적자 규모가 24억 원가량 확대됐다.

같은 기간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64억 원으로 전년에 이어 순유출을 유지했는데, 이는 파생상품평가이익 조정에 의한 것으로 전기('22년)와 당기('23년)의 영업활동 현금흐름 상 큰 차이는 없다. 지난해 회사는 전환상환우선주 내재 파생상품 평가이익 78억 원을 당기순이익에 포함했으나, 이는 평가상의 이익으로 현금 유출과는 무관하다.

투자활동 현금흐름은 143억 원으로, 전년 147억 원의 순유출에서 순유입으로 전환됐다. 2022년 700억 원 규모의 단기금융상품을 새롭게 취득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전기말 단행한 유상증자(242억 원)의 영향으로 2022년 216억 원의 순유입에서 2023년 9억 원의 순유출로 전환됐다.

이엔셀은 설립 기간이 짧고 전략 사업도 초기에 해당하는 만큼 턴어라운드까지 긴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바이오벤처임에도 지속적으로 매출을 발생시키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2021년 노바티스의 CAR-T 기반 혈액암 치료제 '킴리아'가 국내에 도입될 당시 원료세포처리 및 공급을 맡는 등 CMO 관련 수주 실적이 뒷받침된 결과다. 또한 일각에서는 EN001이 이번 임상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해 낼 경우 기존 예상보다 이른 시기에 흑자전환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시각도 나온다.

장종욱 이엔셀 대표는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산업은 제조 방법이 다양해 표준화가 어렵고 관련 규제를 마련 중인 만큼 국가적 관심도가 매우 높은 신성장 산업"이라며 "국내 CDMO 서비스 사업자 중 최다 수행 실적을 보유한 이엔셀은 이번 코스닥 상장을 발판 삼아 글로벌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시장이라는 블루오션을 향해 나아가겠다"라고 말했다.

회원 전용 기사입니다.

인베스트 뉴스 회원가입으로 더 많은 기사를 만나보세요!

MSN에서 인베스트를 팔로우하시면 최신 기사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