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그래픽 = 최미래 기자
인포그래픽 = 최미래 기자

최근 글로벌 통화긴축으로 인한 고금리와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로 스타트업 등 중소기업의 경영부담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민·관이 복합위기에 대응하고 창업기업(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해 나섰다.

12일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 이하 중기부)와 금융위원회(위원장 김주현, 이하 금융위)는 정책금융기관, 중소기업 관련 협·단체와 함께 '복합위기 극복을 위한 중소기업 금융지원 간담회'를 개최했다.

국내 경제의 성장잠재력 제고를 위해서는 중소기업이 신성장산업에 진출하고 구조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는데, 최근 경제상황이 어려운 만큼 정책금융을 중심으로 혁신기업의 성장과 취약 중소기업의 재기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중기부에 따르면 금융위 소관 50조 원, 중기부부 소관 30조 원 등 정책금융을 통해 80조 원 이상 자금을 공급하고 다양한 제도개선을 추진하여 중소기업의 위기 대응력을 높이고 성장잠재력을 확충하는 한편, 경영정상화도 촉진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지원금의 60% 이상은 창업·벤처기업의 성장을 촉진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3고 현상에 의한 비용부담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수출기업 필요 자금 공급에 22.8조 원 △혁신산업 육성 및 창업·벤처기업 성장 촉진에 52.3조 원 △취약기업 채무부담 완화·재기 지원하기 위한 지원제도 정비 및 신규자금 지원에 8.9조 원 등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영 중기부 장관은 "최근 금리인상 등으로 중소기업의 금융 여건이 어려워지고 있는 가운데 금융비용 부담 완화와 원활한 자금 조달을 위한 정책금융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라며 "기업정책을 담당하는 중기부와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금융위가 정책협업체계를 통해 각각의 정책금융기관 역량을 한데 모아 종합적인 중소기업 금융지원 방안을 발표하는 것은 처음있는 사례로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창업·벤처기업 성장 지원 방안

중기부는 투자시장 위축에도 창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청년창업(대표자 만 39세 이하), 혁신산업 분야 창업기업에 저금리(2.5% 고정) 대출과 우대보증(보증료 0.3% 고정) 등을 통해 자금을 공급한다.

성장 가능성 높은 기업에는 '스케일 업(확장)'을 돕기 위해 보증한도를 최대 150억 원으로 대폭 확대하고, 벤처기업들이 초기 투자유치 이후 민간 자금조달이 어려운 시기에 이용할 수 있는 벤처대출과 투자연계보증을 제공한다.

또한 혁신성장펀드(5년간 15조 원)와 모태펀드(5년간 10조 원)를 통해 혁신산업 기업을 육성하고 창업기업이 유니콘 기업(기업 가치 10억 달러 이상인 스타트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회원 전용 기사입니다.

인베스트 뉴스 회원가입으로 더 많은 기사를 만나보세요!

MSN에서 인베스트를 팔로우하시면 최신 기사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