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제틱에이아이
출처: 제틱에이아이

AI 솔루션 개발 스타트업 제틱에이아이가 한국투자액셀러레이터와 더벤처스로부터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21일 밝혔다. 구체적인 투자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이번 투자를 통해 제틱에이아이는 안드로이드 및 iOS 플랫폼 전문 AI 개발자 인력을 확충하고, 자사의 서비스를 고도화해 글로벌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제틱에이아이는 서버리스 AI 솔루션 '제틱멜란지'(ZETIC.Melange)를 개발했다. 제틱멜란지는 별도의 GPU나 클라우드 서버 없이도 고객사의 AI 모델에 최적화된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이를 활용하면 모든 서버 작업을 내부 라이브러리 작업으로 대체해 서버 비용을 전면 제거할 수 있으며, AI 모델을 모바일 기기에 쉽게 통합할 수 있다.

또한 제틱멜란지는 신경망처리장치(NPU)를 통해 기존 AI 서비스를 온디바이스 AI로 전환함으로써 기존 클라우드 서버 방식의 한계를 극복했다. '온디바이스 AI'는 기기 내부에 AI 반도체 칩을 탑재해 네트워크 연결 없이도 모바일 기기 자체적으로 정보 처리가 가능한 기술이다.

제틱에이아이의 김연석 대표는 "AI 기반 국내 스타트업들이 사용자 수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서버 비용으로 인해 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며 "이에 제틱에이아이는 고객사들의 클라우드 기반 AI 모델을 온디바이스 AI로 전환하는 솔루션을 통해 비용 절감 및 성능 향상을 돕고 있다"라고 밝혔다.


Q. 이번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추구한 전략은?

제틱에이아이는 이번 투자 유치를 위해 기존 시장에 없던 제틱멜란지 아이템을 제안했다. 제틱멜란지는 GPU 기반 AI 서비스를 온디바이스 AI로 원스탑 전환해주는 엔드투엔드(end-to-end) 솔루션 서비스다. 

 

Q. 투자금의 사용 계획은?

이번 시드 투자 유치를 통해 조달한 자금은 제품 고도화를 위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채용 등 인력 확충에 사용할 계획이다.

 

Q. 해당 비즈니스 영역을 선택하게 된 계기는?

저는 AI 초창기 알파고 신드롬 때부터 글로벌 모바일 반도체 대기업 퀄컴 연구원으로서 온디바이스 AI를 연구해 왔는데, 당시 많은 기업과 시장의 관심에도 불구하고 해당 분야의 진입장벽이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에 온디바이스 AI 산업의 진입장벽을 낮춰 AI 시장을 혁신하겠다는 뜻을 품게 됐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막대한 GPU 및 클라우드 서버 비용 문제와 많은 서버로 인한 환경 오염 문제(탄소 배출)를 인식하게 되면서 경직된 AI 시스템 구조를 바꾸기로 결심했다. 

 

Q. 회사의 단기적인 목표와 최종 비전은?

국내 기업들이 온디바이스 AI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진입 장벽을 낮춰 인적 및 인프라 부담을 줄이는 것이 목표다. 최종적으로는 글로벌 온디바이스 AI의 대중화를 이끌어나가 누구든 쉽게 AI 일상을 누릴 수 있도록 세상을 혁신하고자 한다. 

 

Q. 관련 분야 스타트업, 또는 창업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

온디바이스 AI 기술을 기반으로 AI 시대의 혁신적 변화를 주도할 파트너사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적극 모집하고 있다. 관련 스타트업 및 AI 개발자들의 많은 관심과 연락 부탁드린다.

 

 ※ 본 기사는 취재를 통해 사실관계 확인 후 작성됐음을 명시합니다.

회원 전용 기사입니다.

인베스트 뉴스 회원가입으로 더 많은 기사를 만나보세요!

MSN에서 인베스트를 팔로우하시면 최신 기사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