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그래픽 = 최미래 기자
인포그래픽 = 최미래 기자

올해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 등이 미래산업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예비창업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3조 6,607억 원 규모를 투입한다.

2일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의 '2023년 중앙부처 및 지자체 창업지원 사업 통합공고'에 따르면 올해 창업지원 사업은 총 426개로, 예산은 3조 6,607억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지원사업 수는 48개 증가했으나, 예산은 전년(3조 6,668억 원)과 유사한 수준이다.

중앙부처별 창업지원 규모는 창업기업 육성 전담 부처인 중기부3조 2,914.4억 원(93.8%)으로 가장 높고, 고용부(589억 원, 1.7%), 문화체육관광부(516억원, 1.5%)순이다.

지자체별로는 서울시396.4억 원(25.9%)으로 가장 많은 예산을 지원하고, 경기도(251.6억 원, 16.5%), 전라남도(113.8억 원, 7.4%)가 뒤를 이었다.

2023년 창업지원 사업 : 신기술·글로벌·청년·지역

인포그래픽 = 최미래 기자
인포그래픽 = 최미래 기자

중기부 등 중앙부처와 지자체는 올해 △신산업·신기술 창업 △글로벌 창업 △청년 창업 △지역 창업 등을 중심으로 지원사업을 펼칠 계획이다.

◆신산업·신기술 창업
첨단 미래산업 스타트업 육성전략을 목적으로 신산업 분야 창업기업 275개 사에 570억 원을 지원한다. 또한, 민간투자사가 발굴한 유망 기술창업팀을 지원하는 '팁스(TIPS) 프로그램'을 확대해 바이오, AI,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 및 딥테크 창업 활성화를 도모한다.

팁스 프로그램 지원 규모는 지난해 777.7억 원에서 올해 1,100.8억 원으로 41.5% 확대된다.

◆글로벌 창업
글로벌 기업과의 협업을 확대해 창업기업의 스케일업 및 글로벌 시장 진출 기회를 마련하고, 창업기업의 현지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현지 보육 프로그램, 시장정보 및 입주공간 등을 제공한다.

중기부는 기존 글로벌 협업 기업 6개 사(구글, MS, 엔비디아, 다쏘시스템, 앤시스, 지멘스)에서 AWS, 오라클이 추가된 총 8개 사와 협업해 270개 사를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K-스타트업 그랜드 챌린지'를 통해 해외 우수 스타트업의 국내 유입을 지원하고 한국을 아시아 최고의 스타트업 비즈니스 허브로 육성할 계획이다.

◆청년 창업
청년들이 아이디어 하나만으로 창업에 도전하고, 성공할 수 있도록 청년 특화 창업 지원사업을 제공한다.

특히, 청년들이 창업 준비부터 시장진출까지 창업의 모든 과정을 지원받을 수 있는 '청년창업사관학교'를 845.1억 원 규모로 지원한다.

또한, 공공기술을 활용한 청년 창업기업을 발굴·육성하는 '공공기술 창업 사업화 지원사업'과 만 29세 이하 예비 청년창업자를 지원하는 '생애최초 청년창업 지원사업'을 신설해 청년창업 활성화를 도모한다.

◆지역 창업
전국 권역별로 지역 기반 혁신 창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역 특화사업 및 인프라 조성사업 등을 지원한다.

창업중심대학을 권역별로 기존 6개 사에서 9개 사로 확대 지정하고, 지역 내 우수한 인재가 해당 지역에서 창업하고 성공할 수 있도록 17개 시도별 특화 창업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시도별 특화 창업 프로그램에는 부산시의 스타트업 프로그램(5.7억 원), 경기도의 기술창업 지원프로그램(13.3억 원), 제주도의 관광 스타트업 육성 사업(3.7억 원) 등이 있다.

회원 전용 기사입니다.

인베스트 뉴스 회원가입으로 더 많은 기사를 만나보세요!

MSN에서 인베스트를 팔로우하시면 최신 기사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