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삼성전자
출처 =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퀄컴, 구글과 손잡고 삼성표 혼합현실(XR) 기기 구축에 나섰다. 

1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갤럭시 언팩 2023'에서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장(사장)과 크리스티아노아몬 퀄컴 CEO, 히로시 록헤이머 구글 수석부사장은 삼성전자·퀄컴·구글 간 XR 생태계 협력을 공표했다. 3사가 손잡고 '차세대 XR'을 구축한다는 목표다. 

이 자리에서 노태문 사장은 "삼성전자는 퀄컴, 구글을 비롯한 주요 파트너사들과 협력해 차세대 XR 경험을 함께 구축할 것"이라며 "미래에 우리는 실시간으로 일상을 공유하며 오늘날 우리가 거의 상상조차 할 수 없는 방식으로 일하고 놀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몬 CEO는 "삼성 및 구글과의 기존 협력을 기반으로 XR 장치와 경험을 공동으로 추진할 의미 있는 계획을 하고 있다"라며 "향후에도 협력을 통해 스냅드래곤 XR 기술로 현실과 가상공간의 경계를 허물며, 공간 인터넷의 미래를 견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록하이머 수석부사장은 "구글은 AR·VR과 같은 분야에 투자하며 여러가지 앱과 서비스에 AR 기술을 활용하는 등 컴퓨팅과 XR 기술의 새로운 장을 열어가고 있다"라며 "이를 위한 더욱 고도화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을 개발하고자 삼성, 퀄컴과의 협업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라고 전했다.

삼성전자는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않았지만, 조만간 첫 번째 XR 제품을 선보일 것으로 보인다. 노태문 사장은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XR과 관련해) 우리도 남들 못지않게 비슷한 준비를 해왔다"라며 "삼성전자는 첫 번째 XR 제품에 거의 도달했으며, 멀지 않았다"라고 밝혔다.

이어 XR 제품에 들어가는 칩셋은 퀄컴, 소프트웨어는 구글과 협력하고 하드웨어는 삼성전자가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또 메타 및 마이크로소프트와의 서비스 제휴를 포함할 것이라고 언급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애플표 XR 'MR 헤드셋' 이르면 올봄 출시

출처 = Pixabay
출처 = Pixabay

XR 기기 시장이 점점 커지고 있는 가운데 올 상반기 애플이 XR 제품을 출시할 것으로 보이면서 본격적인 XR 시장이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애플이 이르면 올봄 또는 6월 열리는 연례 개발자 행사 'WWDC'에서 혼합현실(MR) 헤드셋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애플의 MR 헤드셋은 'xrOS'라는 새로운 운영체제(OS)로 구동되며, 손과 몸의 움직임을 추적할 뿐만 아니라 몰입형 비주얼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2개 이상의 카메라와 센서가 사용자의 표정과 신체 움직임을 감지하며, 단거리 및 장거리 라이다(LiDAR) 스캐너가 표면과 거리를 3차원으로 매핑한다. 

또한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를 빠르게 전환하기 위한 △디지털 크라운 모양의 물리적 다이얼 △맥세이프 충전을 지원하는 배터리 팩 △착용자의 동공 간 거리에 맞게 렌즈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소형 모터 등이 특징이다. 

애플의 첫 번째 XR 기기 'MR 헤드셋'의 운영체제명에도 포함된 'XR'은 확장현실의 약자로 AR(증강현실)과 VR(가상현실), MR(혼합현실)을 모두 통합하는 용어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옴디아>에 따르면 XR 기기 글로벌 출하량은 2030년 10억대에 근접할 것으로 전망되며, 관련 시장은 2022년 69억 달러(8조 4,100억 원)에서 2027년 200억 달러(24조 3,880억 원)까지 커질 것으로 관측된다. 

회원 전용 기사입니다.

인베스트 뉴스 회원가입으로 더 많은 기사를 만나보세요!

MSN에서 인베스트를 팔로우하시면 최신 기사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