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탄소중립 실현과 친환경 투자 확대를 위한 기반 마련에 나선다.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Taxonomy)에 부합하는 금융상품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녹색금융 전문인력을 양성해, 그린워싱(녹색위장행위)을 방지하고 공신력 있는 녹색금융 생태계 조성을 뒷받침하겠다는 계획이다.
녹색금융 전문인력 키워 금융·산업계 녹색전환 가속화
환경부와 금융위원회는 지난 23일, 금융감독원·한국환경산업기술원·한국금융연수원과 함께 녹색금융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기후위기 대응 수단으로 녹색금융의 역할이 강조되는 가운데,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제도적 기반을 확립하고 실무 현장에 적용 가능한 전문 역량을 키우기 위해 추진됐다.
협약기관들은 기후·환경 및 금융에 대한 인적·물적 자원을 상호 공유하고, 녹색금융 전문가 육성에 협력하기로 했다. 또한 '녹색여신 관리지침'에 근거해 자금 사용 목적이 녹색 경제활동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올해 두 차례(1차, 2차)에 걸쳐 각각 100명씩, 총 200명을 선발·양성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금융권의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이해도를 높이고, 산업 및 금융 전반에 녹색금융의 확산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환경부는 지난해 말 금융당국과 함께 녹색 경제활동 판단 기준, 그린워싱 방지 방안 , 금융회사의 내부통제 지침 등을 포함한 '녹색여신 관리지침'을 제정한 바 있다. 이 지침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의 금융권 적용을 위한 실무 기준으로, 녹색금융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해당 지침이 실효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적합성을 현장에서 직접 판단할 수 있는 실무 전문인력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협약기관들은 이번 교육과정을 통해 실무형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고, 녹색금융 전문인력을 금융 현장에 신속·정확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녹색금융의 신뢰성을 확보하려면 환경과 금융 양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인재 확보가 핵심"이라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녹색금융 전문인력을 대폭 확대하고, 공신력 있는 생태계를 조성해 녹색 투자가 실질적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이번 협약으로 금융권의 기후금융 역량이 한 단계 도약되는 계기가 마련됐다"면서 "이를 촉매제로 민간 금융회사들도 녹색금융 공급 확대와 상품 개발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Taxonomy)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는 환경부가 제정한 친환경 경제활동 분류 기준으로, 금융기관이 대출이나 투자 시 녹색 경제 활동의 지속가능성을 판단하는 지침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 체계는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물의 지속 가능한 보전, 자원 순환, 오염 방지·관리, 생물 다양성 보전 등 6대 환경 목표를 중심으로 산업별 경제활동의 녹색 여부를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