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K-스타트업의 혁신성과 브랜드 가치를 전 세계에 알리고 해외 진출을 확대하기 위해 나선다.
4일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 이하 중기부)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국제전자제품박람회 2023'(이하 CES 2023)에서 'K-스타트업관'을 1월 5일(이하 현지시간)부터 8일까지 4일간 운영한다고 밝혔다.
CES 2023은 세계 최대 규모의 전자제품 박람회로, 글로벌 대기업과 혁신기업들이 참가해 IT 기술과 신기술을 접목한 미래 전자제품을 선보인다. 지난 2년간 코로나19로 인해 다소 주목도가 떨어졌지만, 올해는 173개 국가에서 3,100개 이상의 기업과 4,700개 이상의 미디어가 참여해 많은 관람객 유입이 예상된다. 우리나라도 500개 이상의 기업이 참여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에서 중기부는 서울시와 협력해 창업기업 총 51개 사에 대해 △온오프라인 홍보와 창업기업 데모데이 개최 △기업-투자자 간 비즈니스 매칭 △통역, 기업 홍보 및 관람객 안내(서울시) 등 기업들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서비스와 현지 투자자 네트워킹 발굴을 지원할 계획이다.
앞서 중기부는 지난해 9월부터 창업기업 51개 사에 대해 혁신상 수상 전략 컨설팅, 혁신상 신청 교육 등을 사전 지원해왔다. 이에 14개 사가 이번 CES 2023에서 혁신상에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한편, 'CES 유레카 파크관'에서 운영되는 'K-스타트업관' 방문객들은 로봇 바리스타가 만들어주는 커피를 마시거나, 의자에 앉아 웅장한 사운드를 몸으로 체험할 수도 있으며, 패드를 통해 자신의 인지건강 상태를 직접 확인해볼 수도 있다. 'CES 유레카 파크관'은 스타트업을 위한 전시 공간으로, CES Tech West 내 베네시안 Expo 1층에 위치해 있다.
이영 중기부 장관은 전시회 첫째 날인 5일부터 CES 현장을 직접 방문해 혁신기업 데모데이 참관 등 디지털·딥테크 벤처·창업기업을 격려할 예정이다. 둘째 날인 6일에는 해외 CVC(기업형 벤처캐피탈) 등과 만나 글로벌 펀드 조성을 제안하고, 한인 투자자와 간담회를 개최하는 등 K-스타트업의 해외 진출 교두보 마련을 위한 새해 첫 전략 행보를 시작한다.
이 장관은 "중기부의 CES 지원을 통해 국내 창업기업들의 인지도를 제고하고 K-스타트업을 K-팝, K-드라마, K-푸드에 이은 한국의 대표 상품으로 만들 것"이라며 "CES에 참가한 글로벌 대기업들과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한국의 창업생태계를 알려 K-스타트업이 가장 강력한 국가 스타트업 브랜드로 떠오르도록 하겠다"라고 강조했다.